Macbook PRO BootCamp windows10 Driver 설치
- 코코파인
- 2018. 11. 23. 13:17
Macbook PRO Bootcamp windows10 설치
안녕하세요? 일상, 맛집 그리고 IT 블로거 코코파인TV 입니다. ^^
앞전에 BootCamp 를 통한 Windows10 PRO 설치에 대해 포스팅을 하였는데.. 오늘은 설치 후에 Windows10에 필수로 깔아주어야 하는 드라이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
맥북프로 레티나 13인치 터치 바 2017년형 Space Gray CTO
Spec
- Touch Bar 및 Touch ID
- 3.3GHz 듀얼 코어 Intel Core i7 프로세서(최대 3.6GHz Turbo Boost)
- 16GB 2133MHz 메모리
- 512GB PCle 기반 SSD
- Intel Iris Graphics 550
- Thunderbolt 3 포드 4개
- 백라이트 키보드 및 사용 설명서
제 노트북의 Spec은 위와 같이 기재를 해놓았답니다. ^^
Boot Camp 지원을 키는데 2가지 방법이 있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는 Command + Space Bar 를 눌러서 검색하는방법!!
트랙패드 위에다 손가락을 가운데로 모아주거나, 하단에 보이시는 Launchpad App를 클릭하시면 위와 같은 창에서 Boot Camp 지원을 검색하고 클릭을 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창을 클릭하면 상단에 Boot Camp 지원으로 전환이 되는데, 동작 -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클릭하시면 Mac OS에 설치가 된답니다.
저는 다운받을 프로그램을 별도로 폴더에 넣고 USB 를 연결하여 준비를 하였답니다.
다운 완료된 폴더를 USB에 연결하여 이동을 해줘야 한답니다. ^^
다시 부팅을 하여 옮겨두었던 Windows 10 Pro 폴더를 열어주고, Windows10 Driver → WindowsSupport → BootCamp 경로로 들어와야 합니다. :)
해당 사항에서는 다음버튼을 눌러주시면 된답니다.
이 부분에도 동의합니다 체크를 해주고 나서 설치버튼을 눌러줍시다. ^^
설치 패키지 나열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설치가 되는데, 기다리다 보면은 소프트웨어 설치하라고 나오면 설치버튼 클릭!!
설치가 완료되면 시스템 재시동(권장) 버튼을 체크하고 마침을 눌러주면 재부팅이 된답니다.
이후에 바탕화면 오른쪽 하단 상태창부분에 Boot Camp 라는 아이콘이 뜨면서 MacOS으로 전환을 하고싶으면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주고 재시동 버튼을 클릭!!
※ 진행 하시면서 알아야 될 사항!!
이번 Mac OS 소프트웨어 패치로 인해 High Sierra 버전인 경우 해당 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닌 option키로만 전환이 가능한 의도적인 작업이라고 합니다. Option키로 Mac Os로 전환하셔서 사용하시는 것이 현재로써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10.13 OSX의 경우 SSD가 적용된 모델은 APFS 파일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하여 파일시스템의 변화로 부트캠프에서 맥으로 바로 전환되지 않는 것은 정상적인 동작입니다. 어떠한 오류는 아니고, 해당 버전 설계 시 이러한 작동이 되게 설계가 된 상황입니다.
'코코파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desk AutoCAD 2017 x64 설치하기 (0) | 2018.11.28 |
---|---|
PhotoScape, 사진에 로고를 넣어 저작권 만들기 (0) | 2018.11.23 |
Macbook PRO Bootcamp windows10 설치 (0) | 2018.11.23 |
강화유리 필름, 아이폰X 4D 풀커버 PURE GORILLA GLASS (0) | 2018.11.22 |
I Phone X Space gray 256GB 개봉기 (0) | 2018.11.22 |
이 글을 공유하기